우선 Region이 현재 Seoul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검색하든 옆에 바에서 찾든 rds로 들어가서 create database 버튼을 클릭한다.
mySQL로 진행.
건드릴 거 없이 쭉쭉 넘어간다.
돈 없는 백수라면 꼭 Free tier 선택하기!
원하는 db instance 이름 짓고 username과 password를 설정한다. 이 둘은 나중에 써야 하므로 반드시 기억하자!
db.t4g.micro 해도 된다. 이것도 공짜. 성능도 더 좋다. 근데 혹시 몰라서 돈 나갈까봐 db.t3.micro로
마찬가지로 돈 없는 백수라면 autoscaling은 끄는게 좋다. 스토리지 타입도 provisioned로 하면 돈 나가니 주의하자.
기존 ec2 인스턴스가 있어도 public access를 켜줘야 인스턴스에서 접근 가능하므로 여기서 연결하지 않고 나중에 따로 작업하도록 한다.
vpc, subnet 그냥 디폴트로 두고 쭉쭉 넘어간다.
db 이름 적어주고 백업은 끄자. (돈 나간다.)
그럼 끝! 생성될 때까지 기다린다.
생성 다 되면 파라미터 그룹도 만들어준다. rds한테 공통적으로 해주는 속성같은거다.
새로 생성한다.
create 클릭.
이제 파라미터 편집으로 들어가서 검색해서 몇 가지 설정을 바꾼다.
서울로 시간 설정.
character_set 설정
collation 설정
max_connections 설정.
디폴트로 둬도 되긴 하는데 돈 나갈까봐(...) 공짜 최대인 60으로 설정했다.
이제 내 rds 들어가서 설정해준다.
modify 클릭
쭉 내리다보면 db parameter group 설정하는 곳 있다. 방금 만들어준 것으로 설정해준다.
즉시 적용 클릭.
이제 로컬에서 접속해보자.
그렇게 하기 위해선 security group을 설정해야 한다. rds instance 들어가서 내리다보면 설정하는 곳 있다. security group은 있는거 쓰거나 새로 만들어서 해도 된다. (사실 잘 모른다)
security group id로 들어가서 inbound rule 추가.
ipv4, ipv6으로 all traffic 하나씩 만들어준다.
난 일단 검색해서 보이는거 다 넣어보긴 했는데... 계속 안되다가 밑줄 친 all traffic 넣으니까 됐다. 저 두 개만 있으면 되지 싶다.
이제 진짜 접속해보자.
connection name 원하는거 넣고
Hostname에 Endpoint를 복붙한다. rds instance에 보면 적혀있다.
그리고 username과 password에 설정했던 것들을 적어준다.
test connection 해서 연결 확인하고 연결해서 show databases; 로 내가 만든 db 보이면 성공.
이제 ec2에서도 rds에 접속해보자.
우선 mysql을 설치한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mysql-server
mysql 명령어로 접속을 시도한다.
mysql -u {username} -p --host {endpoint}
접속 성공.
이제 스프링 프로젝트의 application.properties에 세팅해주면 된다. 해당 파일은 git에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하자!
url에 endpoint, username과 password는 내가 설정한대로 넣고 데이터베이스에 data source -> mySQL을 추가하면 된다. (인텔리제이 기준)
Host에 endpoint, user에 사용자 이름, password에 비번, database에 사용할 디비 이름을 적어주고 test connection을 한 후 연결해준다.
실행하면 끝.
[참고자료]
[AWS] Free-tier로 RDS 사용 중 요금을 지불했어요!
나는..Free-tier로 분명 다 잘 만든 것 같은데..?? 라고 멍청하게 착각하고 있었다.AWS에 들어가서 세부 내역을 확인해보자.
velog.io
https://debut12.tistory.com/34
[AWS] RDS(MySQL) 생성
Amazon RDS(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 RDS는 클라우드에서 간편하게 데이터베이스를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관리형 서비스 모음입니다. RDS 생성하기 https://aws.amazon.com/ko 로그인 후 > 서비스 >
debut12.tistory.com
AWS RDS로 데이터베이스 만들기
AWS의 RDS로 데이터베이스 구축하기
velog.io
'내배캠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teway http header too large 오류 해결 (1) | 2024.11.15 |
---|---|
[스프링] @SpringBootTest 관련 트러블슈팅 (2) | 2024.10.10 |
락(Lock) 이란? (1) | 2024.10.09 |
[스프링] JWT를 이용한 Spring Security 구현 (문제 & 해결) (1) | 2024.10.05 |
[스프링] 트랜잭션 활용과 주의사항 (1)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