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배캠/TIL (60) 썸네일형 리스트형 24. 07. 19 - 웹 기초 특강 웹 서비스란 무엇인가?웹 이라는 공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그 서비스를 설계 / 제작 / 관리하는 것이 웹 서비스 개발자 (웹 개발자) 웹 서비스의 동작클라이언트 : 요청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네이버 기사 요청)서버 : 응답 (네이버 서버가 html 파일로 응답)컴퓨터카카오 데이터 센터이 안에 수 없이 많은 컴퓨터 빼곡하게 들어가 있음이 중에는 전 세계의 인터넷을 통해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적절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가 존재그렇게 할 수 있는 이유 = 웹 서버(컴퓨터)들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웹 서비스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도구 (AWS, Vercel, Netlify 등)컴퓨터 다 살 수 없으니 빌리는 것auto scaling (사용자 몰리면 더 큰 서버 빌려주고 사용량 적어지면 .. 24. 07. 18 오늘 팀을 소개하는 미니 웹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Firebase와 연동하여 댓글을 관리하는 기능을 개발했는데, 지금부터 firebase의 간단한 사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파이어베이스(firebase)란 구글이 개발한 모바일 및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플랫폼으로, 개발자들이 백엔드 인프라를 구축하거나 관리하는 복잡한 작업 없이 핵심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쉽게 말해 웹 서버를 대신 만들어주는 서비스로, 서버 개발이나 백엔드 코드가 없어도 웹 서비스 출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플랫폼이다. 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구글 로그인 이후 콘솔로 이동 프로젝트 만들기 프로젝트 이름 입력 후 프로젝트 만들기 클릭 웹으로 선택 앱 닉네임 적은 후 앱 등록 스크립트 태그 사용에 들어가 코드 복사.. 24. 07. 17 오늘은 HTML, CSS를 사용해 기획했던 팀원 소개 미니 웹 페이지를 제작했다. Flexbox를 거의 다 까먹어서 애를 먹었지만 하다보니 조금씩 기억이 나서 어떻게 원하던 모양대로 완성을 하긴 했다. CSS는 특별한 경우 제외 사용을 많이 안하고 거의 Bootstrap 프레임워크를 이용했다. 별 거 아닌 홈페이지지만 팀원들과 함께 만든 것이라 그런가 의미가 있었다. 내 첫 웹 협업이었는데 생각보다 파트 별 분담도 잘 되고 코드나 깃도 안 꼬이고 스무스하게 진행된 것 같다. 다만 온라인이라 소통할 때 온전히 언어로만 설명해야 하는데, 내가 대신 마우스나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는게 아니므로 말로 아주 잘 설명해야 한다. 이게 생각보다 어려웠는데, 내가 설명하면서도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먹길 바라는 .. 24. 07. 16 느낀점, 배운 것들은 그때마다 바로바로 메모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막상 하루가 끝나고 쓰려니 벌써 가물가물해 지는 것 같다. 어제 특강으로 배운 git을 오늘 오전 팀원들과 써봤는데 생각보다 몇 가지 문제가 발생했었다. 나는 항상 깃허브에 레포지토리 먼저 만든 후 git clone을 했기 때문에 명령어로 git pull과 git push 말고는 쓸 일이 없었는데 내 로컬에 있는 폴더를 깃허브에 올리는 다른 여러 가지 명령어를 배우게 됐다. 그러면서 origin main이 이미 세팅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git pull/push origin main 명령어를 치게 되면 오류가 난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git은 이미 대충 사용법을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특강을 통해 생각보다 꽤 배운 것들이 .. 이전 1 ··· 5 6 7 8 다음